Window cmd로 Spring Build하는 방법(+window에선 ls ->dir)

Window cmd로 Spring Build하는 방법(+window에선 ls ->dir)

반응형

윈도우 프롬프트에서 스프링 파일을 build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하려한다!

Mac과 거의 유사한데 ls과 ./ 등 이정도만 차이가 난다.

참고로 리눅스나 맥에서의 ls는 window에서는 dir로 사용된다.

(1) 실행파일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한 후, 디렉토리를 확인한다.

cd c:/~~~

gradlew.bat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맥은 gradlew를 바로 실행하지만 윈도우는 bat파일 먼저 실행시켜준다.

(2) gradlew.bat 입력한다.

gradle.bat

build라는 명령어 없이 그냥 gradle.bat만을 입력하면 이렇게 자동으로 Gradle이 실행된다.

(3) gradlew build 입력 후, dir로 디렉토리를 확인한다.

gradlew build

build파일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4) build 파일>>libs파일로 이동

cd build/libs

cd build/libs로 한 번에 이동해도 된다!

(5) 자바 실행을 위한 jar 파일을 복사한다.

보통 hello-spring-0.0.1-SNAPSHOT.jar 이렇게 하나만 파일이 생성되던데 나는 두개가 생성되었다.

그냥 밑에 jar파일을 복사하여 실행시켜주면 된다.

(6) 자바 파일을 실행한다.

java -jar hello-spring-0.0.1-SNAPSHOT.jar

java -jar hello-spring-0.0.1-SNAPSHOT.jar 파일이 제대로 실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웹에 들어가 localhost:8080 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완료~~~

참고로 gradlew clean하면 설치되었던 모든 build파일들이 사라진다!

또 버전이 맞지않으면 build가 되지않으니 java 버전을 제대로 확인해보자~

반응형

from http://suzyalrahala.tistory.com/66 by ccl(A) rewrite - 2021-12-28 13:0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