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최신의 기술을 활용한 브로스넌의 코나클립
최신의 기술을 활용한 브로스넌의 코나클립
반응형
1900년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의 코넬리어스 브로스넌은 '종이 클립'으로 특허를 받았다. 업계에서는 '강선을 휘어 만든 최초의 성공한 클립' 으로 평가되었다. 이번에도 모형 없이 특허서류에 두 가지 모양의 도면만 그려져 있었다. 그의 도면은 어린 시절 좋아했던 모형 기차 카탈로그에 있는 선로를 떠올리게 했다. 브로스넌은 '클립의 새롭고 유용한 개선 사항들' 이라는 제목으로 기존의 문제를 극복해낸 방식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이 발명은 여러 장의 종이를 함께 묶어두기 위해 개선된 클립이나 바인더와 관련이 있다. 스프링 강선을 사용해 신속하고 저렴하게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여러 장의 종이도 거뜬히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할 때 쉽게 뺄 수 있는 파스너로서의 기능이 있다.
브로스넌과 특허심사관은 새로운 클립이 기존의 것보다 더 낫다고 생각했다. 그는 그 독특한 형태를 세 개의 항목으로 나누어 주장했는데, 모두 다음과 같은 말로 시작했다.
클립이나 종이 파스너는 한 가닥의 긴 강선으로 되어 있다. 그 강선은 휘어져서 늘여놓은 틀 구조로, 끝부분은 틀의 한쪽 끝에서 안쪽을 향해 꺾여 들어가 클립의 중간에서 길이 방향으로 뻗어가다가 ···
이어서 강선이 "물결 모양의 주름진 형태로 되어 있으며, 틀의 다른 끝에 이르러 작은 고리 모양으로 마무리된다" 고 규정한다. 이렇게 마무리한 작은 고리 모양의 끝이 스쿨리나 발러 클립의 결함이라고 할 수 있는, 클립이 물고 있는 종이를 할퀴거나 찢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브로스넌에게는 또 다른 우월함이 있었다. 코나클립이라고 불린 그의 클립은 강선을 휘어 빈틈이 없는 루프 형태로 만들 수 있는 최신의 기술을 활용했으며, 당시에 특허를 받은 어떤 클립보다 월등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기존에 디자인된 다른 많은 클립보다 분명히 더 편리했다. 그렇지만 코나클립을 사용하면 물린 종이가 절대로 빠져나가지 않는다는 그의 장담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주로 종이 묶음의 가운데에서 종이들이 빠져나오는 현상이 생겼기 때문에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지는 못했다.
브로스넌은 다른 발명가들처럼 특허출원 신청서의 권리주장에서, 한 가닥의 강선을 휘어 '완벽한' 종이 클립으로 만드는 모든 실용적인 방법을 망라하는 식으로 충분히 설명했다고 자부했다. 그러나 이 평범한 물건처럼 '형태는 기능에 따라 만들어진다'는 진부하기 짝이 없는 통설에 지나치게 매달리다가, 오히려 조롱거리가 된 경우는 어디에도 별로 없을 것이다. 예컨대 코나클립의 한쪽 끝에 만들어놓은 고리는 꼭 필요한 것처럼 보였다. 클립의 안쪽에서 끝나는 강선의 끝을 직선 형태로 마무리하면 클립을 사용할 때 종이를 긁거나 관통할 위험성이 생겨서, 다른 핀과 비교해 장점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브로스넌이 오랜 개선 과정을 거쳐 얻어낸 최종 결과로서 '종이를 만족스럽게 물고 있는 유일한 클립' 을 갖게 되었다고 널리 홍보하고 '핀이나 파스너를 사용함으로써 서류를 훼손해서는 안 된다' 고 비즈니스맨들을 다그친 훈계가 무색하게도, 그가 만든 종이 클립에 물린 서류뭉치에서 낱장이 빠져나오는 일은 멈추지 않았다. 게다가 브로스넌이 설계한 클립들은 상자 안에서 서로 엉켜서 문제를 일으키기도 했다.
1905년에 브로스넌은 '참신한 모양'의 클립으로 새로운 특허를 받았다. 스프링 강선을 이용해 만든 것으로, 서로 반대쪽으로 팽창되어 서류뭉치의 가장자리를 싸잡아 물 수 있는 반작용이 일어나도록 고안된 것이었다. 이 클립은 코나클립처럼 모든 무는 기능이 한 평면에 배치되어서 악력을 만들어내기 위해 강선을 겹치는 방식에 의존하지 않았다. 오히려 서로 닿아 있는 안쪽과 바깥쪽의 강선 루프를 따로 떼어놓아 생기는 강선의 스프링 작용으로 종이를 물 수 있었다. 브로스넌은 특히 서류에서 새로운 특허를 이렇게 설명했다. "값싸게 만들 수 있으며 다루기 쉽고 ··· 오랫동안 물고 있는 데 효율적이고 ··· 한 번 세팅하면 흔들리거나 움직일 염려가 없으며 ··· 상자에서 꺼낼 때 번거롭고 시간을 끌던 상호 간의 엉킴도 없으며 ··· 핀으로 물고 있는 서류뭉치와 함께 놓아둔 다른 서류들이 딸려 들어 가는 일도 없다." 당시에 사용하던 기존 종이 클립의 단점과 결함이 무엇이었는지가 분명히 보인다.
출처 : 《포크는 왜 네 갈퀴를 달게 되었나》 - 헨리 페트로스키 지음 / 이인식 해제 / 백이호 옮김 - 김영사
from http://eco-info.tistory.com/168 by ccl(A) rewrite - 2021-12-25 17:2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