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5강_ Dependency를 직접 Injection하기

스프링 5강_ Dependency를 직접 Injection하기

[이클립스(java ee가 아닌 java)]-[파일]-[java project]-[module (dont create)]

-[new]-[class]-[Package : spring.di]

-[name : Program]-[public static void main 체크]

2번째 줄 인터페이스 생성 클릭.

패키지명에 .entity 추가 입력 후

피니쉬.

입력 후

다시 메인 자바 파일로 이동

첫 줄 클래스 생성 클릭

두번째 리턴 타입 float 변경. 이후 빨간 밑줄 생기는 것 모두 float타입으로 변경

두번째 줄

쨔잔

2번째 줄 클릭!

패키지명 .ui 추가

4번째줄 입력

클래스 생성 클릭

Generate Constructor using Fields 클릭

(아 귀찮으니 사진 이제 적당히 캡처하겠음 -0-)

-[generate]하면

=========================

public InlineExamConsole(Exam exam) {

this.exam = exam;

}

=========================

생성자 추가됨(super 지움)

(부품 결합을 위해 기본 생성자가 아닌 Exam 타입을 넣어주는 생성자를 만드는 부분!)

이후 컨트롤+쉬프트+영문O 하여 임포트 해준다.

쨔잔

쨔잔x2

13, 14번째 줄 조립이 달라짐에 따라 실행 결과창이 달라진다!

외부 파일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면 코드 수정이 필요하다.(주석을 On, Off하더라도!)

외부 파일 설정은 번거로우니 이 작업을 스프링으로 대체하겠다.

https://www.youtube.com/watch?v=gtqctgfywn4&list;=PLq8wAnVUcTFUHYMzoV2RoFoY2HDTKru3T&index;=5

from http://late90.tistory.com/91 by ccl(A) rewrite - 2021-12-25 07: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