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3 tier 구조 구축 / jenkins git 배포 자동화

[Docker] 3 tier 구조 구축 / jenkins git 배포 자동화

728x90

1. 3 tier 구축

(1) db: mariadb (PORT 3306)

테이블 구조는 다음과 같다.

db와 연동이 되는 지 확인을 위해 만든 테이블이기 때문에 아주 간단히 만들었다.

(2) was: springboot (tomcat) (PORT 8080)

db_data를 누르면, db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와 출력하는 간단한 웹이다.

(3) web: apache (PORT 9000)

Apache와 Tomcat 연동 시 index.html 한 파일만 Apache가 담당하도록 했다.

2. git 서버 구축

CentOS7 환경 위에 깃 서버를 구축했다.

3. jenkins 배포 자동화

서비스 서버를 구축해 배포하도록 했다.

젠킨스 - PORT 8091

서비스 서버 - PORT 8083

즉, 8083번 포트에 접속하면 3 tier로 구축해둔 웹이 나타난다.

2분 간격으로 git 수정 여부를 확인하고, 수정 사항이 있다면 빌드를 실행한다.

빌드에서 성공했다면, 서비스 서버를 통해 자동으로 배포를 완료한다.

배운 것 정리

웹 SpringBoot MariaDB tomcat jenkins

네트워크 통신 ssh port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기본 명령어 사용법

도커 도커 기본 개념 도커 기본 명령어 컨테이너의 개념 Dockerfile Docker Network Docker Compose

젠킨스 젠킨스 기본 개념 폐쇄망 환경에서의 젠킨스 사용법 빌드 및 배포 자동화

728x90

반응형

from http://da2uns2.tistory.com/96 by ccl(A) rewrite - 2021-11-30 16:27:31